logo

무신사

Product Manager (Core AI)
cd8TZH
Product
1a8WHX
Program Manager
/u5j0s
D4k/Pe
DvUa5s
W+7+Ss
hqff73
무신사 오피스 성수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2가 277-47, 무신사 성수

[무신사 테크 ​소개]

팀 ​무신사 ​테크 조직은 ​혁신의 원동력이자 변화를 선도하는 ​핵심 ​기술 조직입니다. ​고객과 입점 브랜드가 ​각자의 고유한 ​개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데이터와 기술을 기반으로 ​한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합니다. ​무신사 ​테크는 ​새로운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항상 ​새로운 ​영역에서의 성공을 ​꿈꿉니다.

무신사는 한국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선보이고자 OCMP(One Core Multi Platform)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체 비즈니스의 폭발적 성장을 지원하며 무신사 테크는 끊임없는 도전과 혁신으로 고객에게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팀 소개]

Core AI 팀은 무신사 전사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AI 인프라·플랫폼(AI API Gateway, Musinsa AI Studio 등)과 이를 활용한 AI 서비스(번역, 상품 요약, 생성형 콘텐츠 제작, 운영 효율화 도구 등)를 기획·구축·운영하는 조직입니다.

내부 조직을 위한 도구와 워크플로뿐 아니라, 무신사 앱·웹 등 대고객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는 AI 기능(예: 상품 요약, 생성형 콘텐츠·이미지/영상 처리 등)을 함께 설계하여, 무신사의 새로운 고객 경험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Core AI의 인프라·플랫폼·대내외 서비스 전반에 대한 제품 전략과 로드맵을 수립하고, 핵심 지표를 기반으로 실행을 주도할 Product Manager를 찾고 있습니다.


[담당 업무]

  • 전사 서비스·조직의 AI 활용 요구와 데이터를 분석하여, AI 인프라·플랫폼 및 AI 서비스(내부 도구와 대고객 서비스 모두 포함)의 제품 비전과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합니다.
  • 비즈니스 성과(GMV, 전환율, 고객 경험 지표, 내부 생산성 향상 등)와 같은 핵심 지표(KPI)를 정의하고, 지표 중심으로 문제를 구조화하며 우선순위를 설정합니다.
  • AI API Gateway(모델/프로바이더 연동, 인증·과금·모니터링, 거버넌스)와 Musinsa AI Studio(워크플로·템플릿·실험 환경)의 제품 로드맵을 설계·실행하고, 각 도메인 팀이 자율적으로 AI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합니다.
  • LLM, 생성형 AI, 내부 ML 모델 등을 활용하여, 전사 공통으로 재사용 가능한 AI 기능과 개별 서비스·업무에 적용되는 AI 기반 기능(예: 번역·요약·상품 요약, 콘텐츠 생성, 이미지/영상 처리, 운영 업무 자동화, 내부 도구 고도화, 대고객용 AI 기능 등)을 기획·출시합니다.
  • A/B 테스트, 단계적 롤아웃, 오프라인·온라인 지표 분석 등 실험·검증 체계를 설계·운영하고, 주요 제품 의사결정을 정량적 근거에 기반해 리드합니다.
  • 엔지니어, 서비스 PM, 디자인·운영 조직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업하여, 인프라–플랫폼–서비스(내부·대고객)를 아우르는 엔드투엔드(End-to-End) 관점의 제품 개발을 이끌어 갑니다.
  • 제품 출시 이후 핵심 지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정량·정성 분석을 통해 개선 과제를 도출하여, AI 인프라·플랫폼·서비스가 비즈니스 임팩트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도록 관리합니다.
  • AI 활용 가이드라인, 거버넌스, 워크플로 표준 등을 수립하고, 실험 속도와 안전성·컴플라이언스를 균형 있게 고려한 운영 원칙을 관련 조직과 함께 정착시킵니다.


[자격 요건]

  • 5년 이상의 AI/ML, 플랫폼/인프라, 개발자 도구, 또는 이커머스/디지털 서비스 분야 프로덕트 관리(PM) 경험이 있으신 분
  • 제품의 전체 수명주기(문제 정의–기획–출시–운영–개선)를 주도적으로 책임지고, 특히 지표를 기반으로 성과를 정의·관리한 경험이 있으신 분
  •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설을 수립하고, A/B 테스트 및 다양한 실험·분석 방법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논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 있으신 분
  • LLM/생성형 AI, ML 시스템, 또는 AI 플랫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프라·플랫폼·서비스 관점을 동시에 고려한 제품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역량이 있으신 분
  • 엔지니어,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서비스 오너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명확하게 소통하고, 목표·지표·우선순위를 정렬(align)하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있으신 분
  • 불확실성과 제약이 있는 환경에서도 스스로 성과 지표와 목표를 설정하고, 지표를 기준으로 실행 계획을 수립·추적할 수 있는 높은 오너십과 실행력이 있으신 분


[우대 사항]

  • AI 기반 인프라·플랫폼·서비스 성격의 제품을 초기 설계부터 고도화까지 경험해 보신 분
  • A/B 테스트 및 모델 성능, 비용, 지연시간, 안정성, 사용량 등 복수의 지표 간 트레이드오프를 설계하고, 지표 재정의·실험을 통해 의미 있는 성과 개선(변곡점)을 만들어 본 경험이 있으신 분
  • AI/ML 기술을 활용해 전사 공통 워크플로(번역, 콘텐츠 생성, 상품 요약, 문서 처리, 이미지/영상 처리, 운영 자동화 등)를 구축하거나, 기존 업무·서비스 흐름을 데이터·지표 중심으로 재설계한 경험이 있으신 분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경험(시스템 프롬프트 설계, 프롬프트 템플릿화, 프롬프트 실험·튜닝을 통한 품질 및 비용 최적화 등)이 있으신 분
  • 바이브코딩(Vibe coding 등) 또는 유사한 방식의 인터랙티브 AI 개발 환경을 실제로 활용해 본 경험이 있으신 분
  • 조직 간 이해관계가 복잡한 환경에서 비즈니스 임팩트와 중장기 전략을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이를 지표와 로드맵으로 명확하게 설명·설득한 경험이 있으신 분
  • 이커머스 도메인의 다양한 사용자군의 행동 데이터와 업무 흐름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KPI 설계 및 개선을 주도해 본 경험이 있으신 분


[지원 서류]

  • 이력서/ 포트폴리오(선택)
  • (참고) 이력서/포트폴리오 작성팁
  • 이력서/포트폴리오에는 왜 해당 문제를 해결해야 했는지, 어떤 전략을 세웠는지, 어떤 성과가 있었는지 등에 대한 문제 정의, 문제 해결, 성과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담아주세요.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를 떠나, 1차 면접에서 인터뷰어와 심도있는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프로젝트의 이해도가 높은 이력서로 구성해주세요. (프로젝트별 기여도 표시)


[근무 조건]

  • 정규직


[전형 절차]

  • 접수 기간 : 상시지원
  • 전형 절차 : 서류 전형 - 1차 인터뷰 - 2차 인터뷰 - 처우 협의 - 최종합격
  • 문의사항 : [email protected]


+uEs0S
Product Manager (Core AI)

[무신사 테크 ​소개]

팀 ​무신사 ​테크 조직은 ​혁신의 원동력이자 변화를 선도하는 ​핵심 ​기술 조직입니다. ​고객과 입점 브랜드가 ​각자의 고유한 ​개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데이터와 기술을 기반으로 ​한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합니다. ​무신사 ​테크는 ​새로운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항상 ​새로운 ​영역에서의 성공을 ​꿈꿉니다.

무신사는 한국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선보이고자 OCMP(One Core Multi Platform)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체 비즈니스의 폭발적 성장을 지원하며 무신사 테크는 끊임없는 도전과 혁신으로 고객에게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팀 소개]

Core AI 팀은 무신사 전사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AI 인프라·플랫폼(AI API Gateway, Musinsa AI Studio 등)과 이를 활용한 AI 서비스(번역, 상품 요약, 생성형 콘텐츠 제작, 운영 효율화 도구 등)를 기획·구축·운영하는 조직입니다.

내부 조직을 위한 도구와 워크플로뿐 아니라, 무신사 앱·웹 등 대고객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는 AI 기능(예: 상품 요약, 생성형 콘텐츠·이미지/영상 처리 등)을 함께 설계하여, 무신사의 새로운 고객 경험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Core AI의 인프라·플랫폼·대내외 서비스 전반에 대한 제품 전략과 로드맵을 수립하고, 핵심 지표를 기반으로 실행을 주도할 Product Manager를 찾고 있습니다.


[담당 업무]

  • 전사 서비스·조직의 AI 활용 요구와 데이터를 분석하여, AI 인프라·플랫폼 및 AI 서비스(내부 도구와 대고객 서비스 모두 포함)의 제품 비전과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합니다.
  • 비즈니스 성과(GMV, 전환율, 고객 경험 지표, 내부 생산성 향상 등)와 같은 핵심 지표(KPI)를 정의하고, 지표 중심으로 문제를 구조화하며 우선순위를 설정합니다.
  • AI API Gateway(모델/프로바이더 연동, 인증·과금·모니터링, 거버넌스)와 Musinsa AI Studio(워크플로·템플릿·실험 환경)의 제품 로드맵을 설계·실행하고, 각 도메인 팀이 자율적으로 AI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합니다.
  • LLM, 생성형 AI, 내부 ML 모델 등을 활용하여, 전사 공통으로 재사용 가능한 AI 기능과 개별 서비스·업무에 적용되는 AI 기반 기능(예: 번역·요약·상품 요약, 콘텐츠 생성, 이미지/영상 처리, 운영 업무 자동화, 내부 도구 고도화, 대고객용 AI 기능 등)을 기획·출시합니다.
  • A/B 테스트, 단계적 롤아웃, 오프라인·온라인 지표 분석 등 실험·검증 체계를 설계·운영하고, 주요 제품 의사결정을 정량적 근거에 기반해 리드합니다.
  • 엔지니어, 서비스 PM, 디자인·운영 조직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업하여, 인프라–플랫폼–서비스(내부·대고객)를 아우르는 엔드투엔드(End-to-End) 관점의 제품 개발을 이끌어 갑니다.
  • 제품 출시 이후 핵심 지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정량·정성 분석을 통해 개선 과제를 도출하여, AI 인프라·플랫폼·서비스가 비즈니스 임팩트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도록 관리합니다.
  • AI 활용 가이드라인, 거버넌스, 워크플로 표준 등을 수립하고, 실험 속도와 안전성·컴플라이언스를 균형 있게 고려한 운영 원칙을 관련 조직과 함께 정착시킵니다.


[자격 요건]

  • 5년 이상의 AI/ML, 플랫폼/인프라, 개발자 도구, 또는 이커머스/디지털 서비스 분야 프로덕트 관리(PM) 경험이 있으신 분
  • 제품의 전체 수명주기(문제 정의–기획–출시–운영–개선)를 주도적으로 책임지고, 특히 지표를 기반으로 성과를 정의·관리한 경험이 있으신 분
  •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설을 수립하고, A/B 테스트 및 다양한 실험·분석 방법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논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 있으신 분
  • LLM/생성형 AI, ML 시스템, 또는 AI 플랫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프라·플랫폼·서비스 관점을 동시에 고려한 제품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역량이 있으신 분
  • 엔지니어,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서비스 오너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명확하게 소통하고, 목표·지표·우선순위를 정렬(align)하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있으신 분
  • 불확실성과 제약이 있는 환경에서도 스스로 성과 지표와 목표를 설정하고, 지표를 기준으로 실행 계획을 수립·추적할 수 있는 높은 오너십과 실행력이 있으신 분


[우대 사항]

  • AI 기반 인프라·플랫폼·서비스 성격의 제품을 초기 설계부터 고도화까지 경험해 보신 분
  • A/B 테스트 및 모델 성능, 비용, 지연시간, 안정성, 사용량 등 복수의 지표 간 트레이드오프를 설계하고, 지표 재정의·실험을 통해 의미 있는 성과 개선(변곡점)을 만들어 본 경험이 있으신 분
  • AI/ML 기술을 활용해 전사 공통 워크플로(번역, 콘텐츠 생성, 상품 요약, 문서 처리, 이미지/영상 처리, 운영 자동화 등)를 구축하거나, 기존 업무·서비스 흐름을 데이터·지표 중심으로 재설계한 경험이 있으신 분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경험(시스템 프롬프트 설계, 프롬프트 템플릿화, 프롬프트 실험·튜닝을 통한 품질 및 비용 최적화 등)이 있으신 분
  • 바이브코딩(Vibe coding 등) 또는 유사한 방식의 인터랙티브 AI 개발 환경을 실제로 활용해 본 경험이 있으신 분
  • 조직 간 이해관계가 복잡한 환경에서 비즈니스 임팩트와 중장기 전략을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이를 지표와 로드맵으로 명확하게 설명·설득한 경험이 있으신 분
  • 이커머스 도메인의 다양한 사용자군의 행동 데이터와 업무 흐름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KPI 설계 및 개선을 주도해 본 경험이 있으신 분


[지원 서류]

  • 이력서/ 포트폴리오(선택)
  • (참고) 이력서/포트폴리오 작성팁
  • 이력서/포트폴리오에는 왜 해당 문제를 해결해야 했는지, 어떤 전략을 세웠는지, 어떤 성과가 있었는지 등에 대한 문제 정의, 문제 해결, 성과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담아주세요.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를 떠나, 1차 면접에서 인터뷰어와 심도있는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프로젝트의 이해도가 높은 이력서로 구성해주세요. (프로젝트별 기여도 표시)


[근무 조건]

  • 정규직


[전형 절차]

  • 접수 기간 : 상시지원
  • 전형 절차 : 서류 전형 - 1차 인터뷰 - 2차 인터뷰 - 처우 협의 - 최종합격
  • 문의사항 : [email protected]